반응형 심리현상23 락인 효과 (lock in effect) 뜻 현상 원인 사례 자물쇠 효과 쉬운설명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티퍼'입니다. 오늘은 '락인 효과 (lock in effec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락인 효과 뜻 현상 락인 효과 (lock in effect)는 소비자가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한 번 구입, 이용하기 시작하면 유사한 다른 상품이나 서비스로 옮겨 가기가 어려워 기존의 상품,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잠김 효과, 고착 효과, 자물쇠 효과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다른 상품이나 서비스로 옮겨 가기가 힘든 이유는 '전환 비용(switching cost)'라는 것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전환 비용은 현재 사용 중인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다른 제품이나 서비스로 옮겨 갈 때 발생하는 비용을 말합니다. 금전적이거나 시간적이거나 특정한 노력이 필요하게 됩니다. 락인.. 2023. 1. 17. 이케아 효과 (IKEA effect) 뜻 현상 마케팅전략 쉬운설명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티퍼'입니다. 오늘은 이케아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이케아 효과 뜻 현상 이케아 효과 (IKEA effect)는 가구 브랜드 이케아에서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스웨덴을 시작으로 세계젹인 가구 브랜드 이케아는 1943년 유통업으로 시작해 1948년부터 가구를 취급하기 시작했고, 2012년 말 기준으로 세계 43개국에 338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15만 4,000여 명의 종업원이 근무하고 있고 제품은 무려 1만 점이라고 합니다. 1958년 300만 유로에 불과했던 이케아의 매출은 2012년 275억 유로(약 41조 원)를 기록하며, 54년 만에 9.16배 성장했습니다. 전 세계에서 매일 150만 명, 연간 5억 8,000만 명이 이케아 매장을 방문하고 있습니다. 이케.. 2023. 1. 16. 바넘 효과 (barnum effect) 뜻 현상 사례 콜드리딩 쉬운설명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티퍼'입니다. 오늘은 '바넘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바넘 효과 뜻 현상 바넘 효과 (barnum effect)의 바넘(Barnum)은 미국 출신의 피니어스 테일러 바넘(Phineas Taylor Barnum)이라는 사람에게서 유래하게 되었습니다. 바넘은 곡예단에서 사람 성격을 맞히는 일을 하는 사람이었습니다. 흥행의 귀재라고도 불리며 PR(public relations)의 아버지라고도 불립니다. 바넘은 여러 가지 속임수로 서커스 쇼를 흥행시키며, 특히 사람들의 성격을 잘 알아맞혔습니다. 바넘이 성격에 관한 이야기들을 하기 시작하면 그것을 들은 사람들은 모두 자기 얘기라며 놀라고 즐거워했습니다. 그러나 바넘은 정말로 그 사람의 성격을 맞힌 게 아니라 그 사람이 맞다고 생.. 2023. 1. 15. 파노플리 효과 (panoplie effect) 뜻 현상 사례 명품구매심리 쉬운설명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티퍼'입니다. 오늘은 파노플리 효과 (panoplie effec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파노플리 효과 뜻 현상 파노플리 효과 (panoplie effect)의 파노플리 (panoplie)는 프랑스 어로 '기사의 갑옷과 투구 한 세트'를 의미합니다. 파노플리 효과는 자신이 어떤 특정 제품을 구매하면 똑같이 그 제품을 구매하고 사용하는 집단이나 계층과 자신을 동일하게 생각하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쉬운 예로 어린아이가 의사놀이 장난감세트를 가지고 놀 경우 아이 스스로는 의사가 된 듯한 기분을 느끼는 것에 비유됩니다. 일반적으로는 구매한 물건을 통해서 자신의 사회적인 지위와 경제적인 부를 드러내고자 하는 욕구에서 비롯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명품 구매를 들 수 있습니다. 프랑.. 2023. 1. 14. 부메랑 효과 (boomerang effect) 뜻 현상 사례 쉬운설명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티퍼'입니다. 오늘은 '부메랑 효과 (boomerang effec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부메랑 효과 뜻 부메랑 효과 (boomerang effect)는 어떤 행위자의 행위가 생각했던 의도를 벗어나 불리한 결과로 다시 되돌아오는 현상을 말합니다. 여기서 부메랑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 아보리진(Aborigine)이 사용하던 사냥 도구입니다. 아보리진은 사냥할 때 부메랑을 던져 목표물을 공격했습니다. 부메랑은 던지면 되돌아오는 속성이 있고, 목표물을 향해 부메랑을 던졌으나 부메랑이 되돌아오면 그것은 자신이 공격을 받을 수도 있다는 신호가 되었습니다. 여기에 비유해 '부메랑 효과'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습니다. - 부메랑 효과 사례 부메랑 효과는 사회심리학자 웨슬리 슐츠(We.. 2023. 1. 13. 방관자 효과 (bystander effect) 뜻 현상 사례 제노비스신드롬 쉬운설명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티퍼'입니다. 오늘은 방관자 효과 (bystander effec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방관자 효과 뜻 방관자 효과 (bystander effect)의 뜻을 알아보기에 앞서 1964년 뉴욕의 퀸스 지역 주택가에서 벌어진 살인 사건에 대해서 먼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964년 3월 13일 퇴근 후 집으로 귀가하던 28세 여성 키티 제노비스(Kitty Genovese)가 강도의 칼에 찔려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이 사건은 세간의 주목을 받게 되었는데 사건 발생일로부터 2주 뒤 뉴욕타임스에서 '살인을 목격한 38명은 경찰에 신고하지 않았다'는 기사를 냈기 때문입니다. 목격자들은 구조의 손길을 보내지도 않았고, 추운 겨울이라 창문을 모두 닫고 있고, 연인들이 다투는 모습으로.. 2023. 1. 12. 자이가르닉 효과 (zeigarnik effect) 뜻 현상 사례 쉬운설명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티퍼'입니다. 오늘은 자이가르닉 효과 (zeigarnik effec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자이가르닉 효과와 뜻 자이가르닉 효과 (zeigarnik effect)는 러시아 심리학자인 블루마 자이가르닉(Bluma Zeigarnik)과 그녀의 스승인 사상가 쿠트르 레빈(Kurt Lewin)이 제시한 이론입니다. 자이가르닉이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한 어느 날, 레스토랑 종업원들이 많은 주문량들을 적지도 않고 모두 기억하며 실수 없이 테이블로 음식들이 잘 서브되고 있었습니다. 자이가르닉은 그 모습을 신기하게 바라보았고, 종업원에게 방금 옆 테이블에 서브된 메뉴는 어떤 메뉴인지 물어보았습니다. 그러나 종업원은 당황해하며 기억을 못 하는 것이었습니다. 자이가르닉은 이 사건을 머리에서 지.. 2023. 1. 11. 칵테일 파티 효과 (cocktail party effect) 뜻 현상 사례 쉬운설명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티퍼'입니다. 오늘은 칵테일 파티 효과 (cocktail party effec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칵테일 파티 효과란 칵테일 파티 효과 (cocktail party effect)는 시끄럽고 소음으로 가득 찬 파티장 속에서도 나와 대화하고 있는 사람이 하는 말을 알아들을 수 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나에게 필요하거나 내가 들어야 하는 이야기나 정보라면 주변 환경이 시끄럽더라도 그 이야기와 정보는 캐치가 가능한데, '선택적 주의 (selective attention)'이라고도 합니다. 또 다른 말로는 '파티장 효과' '연회장 효과'라고도 합니다. -칵테일 파티 효과 배경 칵테일 파티 효과 (cocktail party effect)는 1953년 영국 왕립 런던 대학의 인지과학자.. 2023. 1. 10. 메기 효과 (catfish effect) 뜻 의미 현상 사례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티퍼'입니다. 오늘은 메기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메기 효과 란 먼저 메기 효과 (catfish effect)는 강한 경쟁자로 인해 다른 경쟁자들의 활동 수준과 잠재력이 높아진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게 왜 메기 효과라고 이름이 붙었는지 어원과 관련된 이야기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북유럽에서는 청어를 즐겨먹습니다. 과거 냉장시설이 없던 시절에 청어를 잡던 어부들은 차가운 해역에서 사는 청어를 잡아 수조에 넣어 육지까지 이동하면 청어들이 많이 죽어있었습니다. 수조에 냉장 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은 상태에 청어는 차가운 물에서 사니까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그러나 청어를 비싸게 팔려면 청어가 살아있을 수 있도록 해야 했고 노르웨이의 한 어부는 그것을 실현하고 있었습니다. 아쉽.. 2023. 1. 7. 넛지 효과 (nudge effect) 뜻 어원 현상 사례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티퍼'입니다. 오늘은 넛지 효과 (nudge effec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넛지 효과 어원 넛지 효과 (nudge effect)에 넛지는 '팔꿈치로 슬쩍 찌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는 '주의를 환기시키다'라는 의미도 가집니다. 미국 시카고대의 행동경제학자인 리처드 세일러 (Richard H. Thaler), 법률가 캐스 선스타인 (Cass R. Sunstein)이 공저한 넛지라는 책을 통해 많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책에서 넛지는 '타인의 선택을 유도하는 부드러운 개입'이라고 이야기하는데요, 넛지의 의미처럼 팔꿈치로 슬쩍 치며 부드러운 권유를 통해 타인이 선택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넛지 효과 현상 넛지 효과 (nudge effect)는 지시나 명령 없이 타인.. 2023. 1. 6.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