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용어tipper

수면자 효과 (sleeper effect) 뜻 현상 사례 쉬운설명

by 티퍼 2023. 1. 21.
반응형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티퍼'입니다. 오늘은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한 번쯤 겪어 본 적이 있었던 현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현상은 '수면자 효과 (sleeper effect)'입니다.

 

- 수면자 효과 뜻 현상

수면자 효과 (sleeper effect)는 신뢰도가 낮은 출처에서 나온 메시지의 설득 효과나 동의하는 정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쉽고 빠른 이해를 위해 일상에서 누구나 겪어 본 적이 있는 상황으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예시) 학생 a와 학생 b가 서로 대화를 하고 있습니다. 학생 a는 최근에 들었던 이야기 중에 재미있었던 이야기가 생각이 나 학생 b에게 들려주었습니다. 학생 b는 가만히 이야기를 듣고 난 후에 학생 a에게 "그 이야기는 저번에 내가 너한테 해줬었던 이야기잖아!"라고 말했습니다. 과거에 들었던 말이 시간이 흐르면서 마치 자기 의견인 양 말하게 되는 경우입니다. 즉, 시간이 지나면서 들었던 이야기의 출처는 사라지고, 그 이야기에 대한 태도만 긍정적으로 변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현재에는 광고나 마케팅, 설득과 태도 변화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현상입니다. 수면자 효과가 나타나는 원인에 대해서는 미국 예일대의 심리학자이자 커뮤니케이션학자인 칼 호블랜드(Carl I. Hovland, 1912∼1961)와 여러 연구자들은 메시지의 신뢰성을 떨어트리는 절감 단서와 메세지 내용이 시간이 자남에 따라 분리되면서 메세지의 내용만 기억에 남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호블랜드와 동료들은 1949년 후반 미군에 징집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육군에서 제작한 선전용 영화를 상영시켜 주었습니다. 그리고 5일이 경과한 후와 9주가 경과한 후의 태도를 비교 측정했습니다. 영화의 내용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연합군을 지지하는 내용을 담았고, 5일이 경과한 시점에서는 영화를 본 집단과 안 본 집단이 별 차이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9주가 경과한 상태에서는 영화를 본 집단이 영화를 안 본 집단보다 연합군에 대해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시간이 오래 지나면 출처에 대한 기억은 부실해지며 정보의 신빈성과 관계없이 메시지의 내용만을 기억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신빙성 낮은 정보가 점점 더 설득력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 수면자 효과 사례

수면자 효과 (sleeper effect)의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면자 효과는 마케팅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광고를 접하게 된 후 광고 효과가 즉각적으로 발생하는 일을 드물고, 시간이 지나면서 소비자들은 광고에서 보았던 제품의 긍정적인 메시지만 기억하게 됩니다. 곧 기업의 매출로 이어지므로 기업에서는 광고를 제작할 때 시간이 지나도 기억에 남을 핵심적인 메시지를 담는 것에 주력하게 됩니다. 카피라이팅이 대표적인 예시가 될 수 있습니다.

 

≫선거운동에서 효과 있는 흑색선전, 네거티브 전략도 수면자 효과와 관련이 있습니다. 사실과 무관하게 타 후보자들에 대한 거짓 정보를 흘리는 것은 대중들의 관심을 유도하기에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흑색선전과 네거티브 전략은 특정 후보와 관련된 거짓 정보들이 정정되었다 하더라도 유권자들은 시간이 지나고 나면 거짓 정보가 어디서 흘러나왔는지, 거짓 정보라고 확인되어 정정이 되었는지 조차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출처는 잊고 부정적인 그 내용만 기억하게 되는 것입니다. 최근 SNS를 통해 이 현상이 자주 일어나고 있습니다. SNS는 강한 파급력을 가지고 있어 메시지를 무한 전파하고 출처에 대한 가치를 계속 떨어트립니다. 이렇게 악성 루머를 정확한 출처 파악 없이 그 내용만 신뢰하게 되어 버리는 상황들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정보를 접할 때에는 출처를 파악하려는 습관도 중요하겠습니다.

- 끝으로 ...

어쩌면 출처와 관계없이 우리의 뇌는 흥미롭고 자극적이 것들만 기억하려 하고 기억하고 싶은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악성 루머에 시달리는 피해자는 배려되지 못한 채 악성 댓글을 달거나, 정확한 출처가 파악되지 않았는데 그 자극적인 내용만 가지고 사람을 판단하는 경우들이나, 싸움 구경, 불구경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 이유들은 모두가 미소 지을 수 있는 훈훈한 상황들 보다 누군가가 고통스러워 할 수 있는 상황에 어쩌면 '재미'를 느끼고 있는 것 같습니다. 자극적인 음식은 먹는 그 순간은 맛있지만 시간이 지나고 쌓이다 보면 몸에서는 해로운 일들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삼삼한 음식에서 '맛'을 찾을 줄 아는 법을 배우는 것이 자기 자신에게 좋을 수도 있겠습니다. 물론 수면자 효과 (sleeper effect)가 나쁜 현상인 것은 아니기에 좋은 방향으로 잘 활용이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은 수면자 효과 (sleeper effect)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수면자 효과라길래 수면과 연관이 있을 줄 알았더니 조금 다른 이야기였던 것 같습니다. 오늘도 제 글이 작게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저는 또 새로운 이야깃거리로 찾아오겠습니다. 좋은 하루, 좋은 밤 보내세요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