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용어tipper

피터팬 증후군 (peter pan syndrome) 이란 뜻 현상 원인 방어기제

by 티퍼 2023. 2. 2.
반응형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티퍼'입니다. 오늘 글부터는 더욱 다양한 용어들을 소개하고 공유하기 위해 카테고리 이름을 '공공상식'으로 변경했습니다. 공부하고 공유하는 상식과 지식입니다. 하루에 하나씩 알아두면 나를 돌아볼 때도 좋고, 상대방과 대화 주제로도 좋습니다. 오늘은 '피터팬 증후군 (peter pan symdrome)'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피터팬 증후군 뜻 현상

피터팬 증후군 (peter pan syndrome)은 성인이 되었지만 책임지는 상황을 회피하고 싶고, 현실을 도피하고 싶어 하는 심리상태를 말합니다. 성인이지만 사회에 적응을 잘하지 못하거나 어린아이와 같은 행동을 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피터팬 증후군이 심한 경우에는 자기만의 세계에 빠져 지내거나, 늘 불안해하며 책임감이 없는 경향을 띄게 됩니다.

 

피터팬 증후군은 영국 동화인 피터팬에서 비유되어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동화 속 피터팬은 영원히 아이로 남을 수 있는 네버랜드라는 꿈의 섬에서 자유롭게 살아가는 소년입니다. 피터팬은 웬디라는 소녀에게 마치 엄마인 것처럼 의존하며, 작은 요정 팅커벨과 장난치는 것을 좋아합니다. 피터팬 증후군을 가진 사람도 이와 비슷한 특성을 지녔습니다.

 

- 피터팬 증후군 특징

피터팬 증후군 (peter pan syndrome)을 띄는 사람들이 가진 특징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이들은 꿈의 섬처럼 이상에 살고 있기 때문에 말로는 야심 찬 계획이나 목표를 이야기하지만 실제로 좋은 결과를 얻어내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인의 관심을 받기 위해 할 수 있다며 호언장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것은 상위 인지(metacogmition)와 연관이 있습니다. 상위 인지는 자신이 무엇을 알고 있고 무엇을 모르는지를 알 수 있는 인지능력입니다. 보통의 이 능력을 갖춘 사람들은 자신이 지키지 못할 약속은 잘 안 하게 됩니다. 그러나 피터팬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이 능력이 떨어져 지키지 못할 약속을 하기도 합니다.

 

또는 자신의 행동이나 잘못에 대해 스스로 책임을 지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런 상황이 발생하면 잘못에 대해 수용이나 시정하지 않고 책임전가 하거나 회피하는 경향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가족이나 친구, 타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들은 육체는 이미 성인이지만 마음은 아이로 남아있고 싶어 하며 보호받고 싶어 합니다. 도전보다는 안주를 좋아하고 도피나 자기만의 세계를 좋아합니다. 어리광을 부리거나 한 가지에 대해 강한 집착을 보이기도 합니다.

 

- 피터팬 증후군의 방어기제

피터팬 증후군 (peter pan syndrome)을 가진 사람들은 그들만의 방어기제가 생겨납니다. 방어기제는 자신의 자아가 위협받는다고 느낄 때, 무의식적으로 상황을 다르게 해석하거나 자신을 속임으로써 감정적인 상처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심리 상태나 행동을 말합니다. 심리상담가이자 작가 선안남은 기대의 심리학에서 피터팬 증후군의 방어기제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방어 기제 특징 예시
대치(displacement) 부정적인 감정을 발생시킨 대상이 아니라 다른 대상에게 화풀이한다. 직장 상사에게 혼이 났지만 옆에 있는 동료에게 괜히 짜증을 낸다.
동일시(identification) 성공한 사람의 특징을 나와 엮는다 자신이 유명 연예인과 같은 학교 출신이라는 점을 자주 강조한다.
백일몽(fantasy) 자신의 성공을 상상하며 현실의 좌절된 욕구를 충족시킨다.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으면서 자신이 성공해서 사람들이 부러워 하는 모습을 상상한다.
퇴행(regression) 스트레스나 불안한 상황에서 발달 이전 단계로 돌아간다. 자신이 궁지에 몰렸다는 생각이 들면 아이처럼 운다.
부정(denial) 유쾌함이 없고 보기 싫은 현실을 거부한다. 통과해야 할 시험이 있을 때, 스스로 노력하지 않았다는 사실과 그래서 시험에 통과할 능력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
합리화(rationalization) 받아들이기 힘든 생각을 자기만의 논리로 정당화한다. 시험을 앞두고 공부가 아니라 인터넷 서핑만 하는데 그것이 정보 축적에 도움이 될 것이라 합리화 한다.

 

 

- 피터팬 증후군 원인

피터팬 증후군 (peter pan syndrome)은 성장하며 성숙을 위해 필요한 힘을 기르지 못했을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거 더 가난했던 시절보다 물질적인 혜택을 받고 자라서 많은 기대를 받았지만 정작 스스로는 자신의 상황과 미래를 풀어나갈 수 있는 내면적인 힘은 기르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아직 마음은 약한 상태인데 해내야 한다는 부담을 느끼게 되니 회피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게 됩니다. 이 문제는 어린 시절 부모님과의 관계 속에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원하는 것을 너무 쉽게 얻어 '과잉 충족'되거나 너무 얻지 못해서 '과잉 결핍'이 나타나서는 안됩니다. 이는 자녀를 독립적인 방향으로 끌어주지 못합니다. 적절한 충족, 통제, 자극, 좌절 등을 겪어볼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합니다. 원하는 것을 아무런 조건 없이 즉각적으로 가질 수 없으며 얻어내는 과정에서 좌절이 있을 수도 있다는 현실을 깨우쳐야 스스로가 최선을 다 할 수 있는 성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끝으로 ...

피터팬 증후군 (peter pan syndrome)이 글 또는 더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간단한 테스트를 통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성인이 된 시점부터는 앞으로의 미래는 스스로 개척해야 합니다. 하지만 피터팬 증후군을 가지고 있다면 가고자 하는 방향을 정해서 추진하고 실행하며 부딪히기보다 나를 둘러싸고 있는 껍질을 먼저 깨고 나오는 것이 순서가 될 수도 있습니다. 빨리 달려 목표 지점에 빨리 통과하고  빨리 달리며 넘어지고 깨지는 경험을 해보는 것도 좋지만, 천천히 달리며 내가 지치지 않고 꾸준히 달릴 수 있는 속도를 알아가고 주변을 살피며 '빠르게' 보다 '오래' 달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살아가다 보면 때로는 빠르게 보다 느리게 가 도움이 될 때도 많습니다. 누리라고 주어진 삶에 부담을 느끼지 말고, 있는 그대로의 행복에 감사하고 불행을 이겨내는 반복으로도 좋은 삶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피터팬 증후군 (peter pan syndrome)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제 글이 작게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저는 또 새로운 이야깃거리로 찾아오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좋은 밤 보내세요 :)

 

'공감'과 '구독' 클릭 한 번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