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공부하는 '티퍼'입니다. 오늘은 특히 온라인상에서 많이 접할 수 있는 현상 '스트라이샌드 (streisand effec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스트라이샌드 효과 뜻 현상
스트라이샌드 효과 (streisand effect)는 정보를 숨기거나 제거하려는 과정에서 오히려 더 많은 정보가 공개되어 의도치 않은 결과를 발생시키는 현상입니다. 심리적인 반응의 한 예시로써 사람들은 어떤 정보가 자신들에게서 떨어져 나간다는 것을 알게 되면 그 정보에 더욱 접근하고 퍼트리도록 동기부여받게 됩니다.
- 스트라이샌드 효과 배경
스트라이샌드 효과 (streisand effect)는 미국의 유명한 가수 겸 배우 비브라 스트라이샌드(Barbra Streisand)에게서 유래되었습니다. 1960년대부터 2010대까지 모두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하며 미국에서 가장 많은 앨범 판매량을 기록한 여가수 중 하나입니다. 이외 영화 퍼니걸, 추억, 스타 탄생이라는 영화에도 출연하며 하나도 수상하기 힘들다는 아카데미상, 골든글로브상, 토니상, 에미상, 그래미상 모두를 석권한 배우로서도 크게 성공한 인물입니다. 한국에서는 인지도가 높지 않지만 미국에서는 대통령급 인지도를 가진 국민가수입니다. 대단한 빌보드 기록과 수상 경력을 보유하며 우수한 보컬 실력을 가졌습니다. 마돈나도 바브라와 같이 무대에서 듀엣을 하게 된다는 소식에 기뻐서 날뛸 정도였다고 합니다.
스트라이샌드 효과는 한 사건에서 시작되었습니다. 2003년 미국의 사진작가인 케네스 아델만(Kenneth Adelman)은 파도로 인한 해안침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비행기를 타고 캘리포니아 해안 사진을 1만 2천여 컷 정도 촬영하며 해안 기록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당시 캘리포니아의 말리부 해안의 절벽에는 비브라 스트라이샌드 소유의 저택이 있었습니다. 자신의 저택이 촬영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비브라는 사생활이 노출되는 것이 신경 쓰여 사진작가와 픽토피아닷컴(pictopia.com)에 항공에서 찍은 자신의 저택 사진을 삭제해 달라는 요청을 했습니다. 그러나 요청은 제대로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사생활 침해를 이유로 약 5,000만 달러 규모의 법정 소송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사건이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엉뚱한 결과를 가져오며 온라인상에 순식간에 저택이 촬영된 사진들이 퍼지고 말았습니다. 이목이 집중되기 전 저택 사진은 사진작가 아델만의 사이트에서 6회 다운로드된 기록이 있었지만 이목이 집중되어 곳곳에 퍼지고 난 후에는 한 달 만에 42만 명이 아델만의 사이트를 방문했습니다. 이 사건에서 스트라이샌드 효과가 유래되었으며 2005년 기술 트렌드, 저작권 이슈를 다루는 블로그 테크더트(Techdirt)의 마이크 마스닉(Mike Masnick)이 자신의 블로그에서 처음 스트라이샌드라는 단어를 사용하면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특정 이슈가 화제가 되면 그것에 대해 더 찾아보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그것을 알리게 됩니다. 이는 화제의 가치가 있다면 그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파하기 위해 더욱 찾아보게 됩니다. 얼마나 크고 좋은 저택이길래 법적인 문제까지 제기되었을지 관심이 가져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해당 콘텐츠가 삭제되면서 아예 사라질 수 있다는 생각에 전파시키기도 합니다.
- 스트라이샌드 효과 사례
≫애플의 독일 앱스토어 매니저가 쓴 독일어 책 판매에 대해 법적 소송이 제기되었던 적이 있습니다. 애플은 판매 금지의 이유로 기밀 정보 발설을 들었습니다. 하지만 홍보가 야기되어 있던 책은 독일 아마존 베스트셀러 목록 2위에 오르며 2쇄 인쇄까지도 하게 되었습니다.
≫삼성의 갤럭시 폰을 사용하는 유튜버 ghostlyrich가 핸드폰 배터리에 불이 났다는 영상을 업로드했습니다. 유튜버가 보상을 받기 전 삼성 측에서는 증거를 요구하며 확산을 우려해 해당 영상을 삭제하고 비슷한 영상을 업로드하지 않고 회사를 고소할 권리 박탈, 대중적인 발언 금지 등의 요구를 받게 됩니다. 그는 요구서를 온라인으로 공유했고, 이후 영상은 하루에 120만 명이 보게 되었습니다.
- 끝으로 ...
스트라이샌드 효과 (streisand effect)와 지난 글의 칼리굴라 효과 (caligula effect)는 모두 숨기거나 금지할수록 더욱 이목이 집중되고 확산됩니다. 두 가지 효과를 모두 알아보고 나니 숨기거나 금지할수록 더욱 드러나고 확산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를 역으로 이용해 숨기거나 금지해야 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본인 스스로가 드러낸다면 더 큰 확산은 막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렇게 한다면 반대로 신뢰도가 상승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당사자에게 듣는 것보다 남을 통해 들으면 배신감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이미 드러내지 않고 싶거나 금지하고 싶은 마음이 든다는 것은 피해 갈 수 없는 상황이 자신에게 다가올 것이 기정사실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때로는 숨기는 것보다, 드러내는 것이 좋은 해답이 될 때가 있겠습니다.
오늘은 스트라이샌드 효과 (streisand effect)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제 글이 작게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공감'과 '구독'을 눌러주시면 많은 힘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좋은 하루, 좋은 밤 보내세요 :)
'용어tip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맥 지수 스타벅스 지수 엥겔 지수 슈바베 지수 뜻 간단하게 알아보기 (0) | 2023.01.31 |
---|---|
립스틱 효과 (lipstick effect) 뜻 유래 소비심리 스몰럭셔리 쉬운설명 (0) | 2023.01.30 |
칼리굴라 효과 (caligula effect) 뜻 현상 사례 리액턴스 효과 (0) | 2023.01.28 |
대비 효과 (contarast effect) 뜻 현상 예시 사례 쉬운설명 (0) | 2023.01.27 |
이웃 효과 (neighbor effect) 뜻 현상 명언 교훈 (0) | 2023.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