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용어tipper

귀인 이론 (attribution theory) 이란 뜻 쉬운 설명 긍정마인드

by 티퍼 2023. 2. 8.
반응형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티퍼'입니다. 오늘은 '귀인 이론 (attribution theory)'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흔히 아시고 계신 귀한 사람이라는 뜻의 귀인(貴人)이 아니라  귀인(歸因)은 돌아올 귀에 인할 인을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귀인 이론에 대해서 알게 된다면 긍정마인드로 가는 또 다른 한 걸음을 내딛게 될 수 있습니다. 그럼 귀인 이론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귀인 이론 이란

귀인 이론의 뜻은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그 결과에 대해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기를 반복하며 그 원인을 추론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예로 면접에서 떨어진 이유, 연인과 헤어지게 된 이유, 상대방이 나한테 그렇게 말을 한 이유, 내가 이 물건을 산 이유 등 일상에서 결과가 생긴 대부분에 일에서 우리는 귀인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습니다. 인간은 미래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그것에 대해 대비하기 위해 귀인을 합니다. 그러나 미래는 예측한 대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현재가 쌓이고 쌓여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귀인 한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해답을 얻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은 왜 그런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내부 귀인 (internal attiribution)과 외부 귀인 (external attiribution)

오스트리아 출신의 심리학자이자 귀인 이론의 창시자인 프리츠 하이더(Fritz Heider)는 인간은 물리적 대상을 지각할 때 재구성 과정을 거친다고 했고, 이 재구성 과정을 귀인이라 했습니다. 이는 사회적으로도, 대인 관계 등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그의 저서 대인관계의 심리학에서는 사람들은 타인의 행동의 원인을 자신이 납득 가능하거나 해답을 얻을 때까지 추론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람들은 아마추어 과학자나 경험 없는 심리학자 같이 행동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추론 과정에서 타인의 행동의 원인을 내적인 요소(태도, 성격의 특성, 기질 등)에 귀인하는 것은 내부 귀인이라 하고, 외적인 요소(상황, 사회 규범, 우연 등)에 귀인하는 것은 외부 귀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누가 살인을 저질렀을 경우, 외부 귀인은 상황을 이유로 아픈 사람이 있어 돈이 필요했거나, 사채업자에게 시달려서, 자라 온 가정환경 등의 이유로 추론하는 것이고, 내부 귀인은 성격이 흉악하다는 것을 이유로 추론하는 것입니다. 간단하게 원인을 상황에서 찾거나(외부 귀인), 사람에게서 찾는 것(내부 귀인)입니다. 

 

- 귀인의 오류

우리가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는 귀인 과정에서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귀인 효과, 귀인 오류라고 부르며, 이는 타인의 말이나 행동에 대해 귀인할 때 대부분 그 대상의 기질이나 성격적인 측면을 통해 귀인하는 경향을 보이는 오류입니다. 예를 들어, 타인이 나에게 그렇게 말하거나 행동할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하기보다는 원래 그런 사람이라거나 원래 못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행위자-관찰자 편향/자기 고양 편향

 

행위자-관찰자 편향은 타인의 행동을 귀인할 때 대부분 내적인 요소(사람)에 집중하고 외적인 요소(상황)는 집중하지 않는 것입니다. 누가 성적이 좋지 않으면 게을러서 공부를 안 했다고 내부 귀인으로 말하지만, 자신의 성적이 좋지 않으면 아프거나 알바를 해야 했거나 하는 등 외부 귀인을 하는 것입니다. 자기 고양 편향은 사람들은 자신의 자존감이 위협받는다는 생각이 들거나 그런 상황에 처하면 자존감을 높이거나 지키려는 동기가 발생하게 됩니다. 여기서 자신의 성공 요소에는 '내가 잘해서' 라며 내부 귀인하지만, 실패 요소에 대해서는 '같이 한 팀원이 못해서' 라며 외부 귀인하는 것입니다. 흔히 쓰이는 말로는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라는 내로남불이나, '잘 되면 내 탓, 못 되면 조상 탓'이라는 말들이 곧 자기 고양 편향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공변 모형

 

해럴드 켈리(Harold. H. Kelly)가 제시한 이론으로 사람들은 귀인을 하기 전 특정 행동에 대해 여러 번 관찰하고, 그 뒤에 그 행동과 함께 변화하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내부 귀인할지 외부 귀인할지 결정한다는 이론입니다. 이때 일관성, 합일성, 특이성 이 세 가지를 고려하게 됩니다. 시간 흘러도 동일한 행동을 하는지에 대한 일관성, 특정한 행동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합일성, 특정한 원인이 있을 때 특정한 결과가 나오는 특이성입니다. 예로 어느 브랜드의 식품을 누군가 먹는 것을 보았을 때 일관성을 고려해 매일 먹는지, 합일성을 고려해 다른 사람들도 많이 먹는지, 특이성을 고려해 그 식품이 바겐 세일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많이 먹었던 건지 등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 추론적 합리화

추론적 합리화는 대상에 대한 정보가 불충분할 경우에 귀인하는 과정으로 대상을 평가 및 해석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로 '삼성이니까 당연히 좋을 거야' '예쁘고(잘 생겨서) 성격도 좋을 거야(또는 나쁠 거야)' 등입니다.

 

≫평가 일치 추론

 

평가 일치 추론은 '후광효과(https://alwaysbetterthan.tistory.com/22)'라고도 합니다. 링크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대상이 한 분야에서 뛰어날 경우 다른 분야에서도 뛰어날 것이라고 추론하는 것입니다.

 

≫공변 기반 추론

 

공변 기반 추론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대상의 정보가 평가에 사용될 수 없거나 모호한 정보일 경우에 발생합니다. 예로 가격은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없지만 비싸니까 품질도 좋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 끝으로 ...

우리는 어떤 결과에 대해 습관처럼 나만의 이론으로 해석합니다. 귀인 이론 (attribution theory)을 통해 내 생각의 과정과 또 내려진 결론이 정답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내 생각과 결정이 옳다고 믿는 것은 나를 행복하게 만드는 일 보다, 불행하게 만드는 일이 더 많아지게 합니다. 내가 틀렸을 수도 있고, 내 판단이 정답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바탕에 두고 내 감정이 주된 요소가 아닌 다른 다양한 해석을 한다면 더 좋은 판단으로 내 마음이 편안해질 수도 있습니다. 누군가 나에게 기분 나쁜 말을 했다면, 그 사람이 나쁜 사람이라고 단정 짓기보다는 정말로 나에게 나쁜 의도가 있었는지 먼저 알아보고, 또 나에게는 문제가 없었는지도 생각을 해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성공에는 자신을 칭찬하는 것도 좋지만 다른 대상이나 사람에게서 성공 요소를 찾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성공한 방법이 내 몸에는 점점 베여들어가겠지만 주변 환경은 바뀌기 마련이고 좋은 성공 요소나 교훈을 놓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실패 요소는 자신에게서 찾는 것이 좋습니다. 환경은 원하면 바꿀 수 있지만 자신은 바뀌기 쉽지 않고, 스스로를 돌아보는 과정이 없다면 버려야 할 습관이나 생각을 놓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좋은 귀인(歸因)으로 좋은 귀인(貴人)들이 많아진다면 행복한 삶이 될 것 같습니다.

 


오늘은 귀인 이론 (attribution theory)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사람이 생각하는 것도 다 과정과 이유가 있다는 것에 긍정적인 마인드를 갖는 것도 과정을 수정하고, 방법을 터득한다면 얻을 수 있다는 것에 희망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오늘도 제 글이 작게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저는 또 새로운 이야깃거리로 찾아오겠습니다. 좋은 하루, 좋은 밤 보내세요 :)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이나 '구독'을 눌러주세요.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