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용어tipper

더닝 크루거 효과 (Dunning Kruger effect) 뜻 현상 원인 교훈

by 티퍼 2023. 4. 25.
반응형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티퍼'입니다. 오늘은 더닝크루거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더닝 크루거 효과 (Dunnig Kruger effect) 뜻

더닝 크루거 효과는 사람들이 스스로 자신의 지식이나 능력, 경험 등에 대해서 지나치게 과대평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더닝 크루거 효과는 미국의 콜롬비아 대학교 심리학 교수인 데이비드 더닝 (David Dunning)과 저널리스트 저스틴 크루거 (Justin Kruger)가 1999년 발표한 논문에서 처음 제시되었습니다.

 

- 더닝 크루거 효과 (Dunning Kruger effect) 현상

더닝 크루거 효과의 현상은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1. 과대평가 : 스스로의 능력을 지나치게 과대평가하는 경우

2. 자신감, 성취감 : 초보자가 도전적인 자세를 취하면서 높은 목표에 대해 도전하고 성취할 수 있는 용기를 부여하는 경우

3. 피드백 거부 :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면서 타인의 피드백을 거부하거나 무시하는 경우

4. 지속적인 무리한 도전 : 지속적으로 어려운 도전을 시도하는 경우

 

- 더닝 크루거 효과 (Dunning Kruger effect) 원인

더닝 크루거 효과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경험의 부족 : 어떤 분야에 대해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한 초보자가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면서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초보자가 스스로 자신의 능력이나 경험에 대해 정확한 판단을 하기 어려우므로 더 많은 경험과 능력의 발전을 더해가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2. 자기 참조적 인식 : 자기 참조적 인식은 자신의 인상 또는 능력에 대해 주변 환경보다 과대한 평가를 하는 인식 편향입니다. 이는 스스로가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을 인식하고자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새롭게 시작한 분야라면 어느 정도의 레벨에 도달하기 전 까지는 꾸준히 지식과 경험을 쌓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그리고 자기 참조적 인식으로 발생하는 인식 편향을 극복하기 위해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아야 합니다.

 

- 더닝 크루거 효과 (Dunning Kruger effect) 긍정적인 면 / 부정적인 면

더닝 크루거 효과는 대부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지만, 일부 긍정적인 면도 존재합니다.

 

긍정적인 면 : 스스로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며 도전적인 자세를 갖게 될 때, 이러한 자세는 성취감과 자신감을 상승시키는 좋은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자신을 과소평가할 경우 안정적이지만 성장 속도가 둔화될 수 있지만, 자신을 과대평가할 경우 다소 위험할 수 있지만 성장 속도가 더욱 빠를 수 있습니다.

 

부정적인 면 : 과도한 실수를 유발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받는 피드백들을 거부하고 무시하며 주변 사람들에게 폐를 끼칠 수 있습니다. 실수가 반복될수록 스스로가 잘할 수 있는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자책하는 횟수가 늘어나며 소극적이게 될 수 있습니다.

 

- 더닝 크루거 효과 (Dunning Kruger effect)  교훈

더닝 크루거 효과의 교훈 몇 가지입니다.

 

1. 자신감을 갖는 것은 좋으나, 자신을 너무 과대평가하지 말아야 합니다.

2. 경험과 지식을 충분히 쌓고, 지속적으로 자신의 능력 향상을 위해 힘써야 합니다.

3. 피드백에 대해 개방적인 모습을 갖추어야 합니다. 자신을 객관화하고, 필요한 피드백은 흡수해야 합니다.

4. 스스로의 능력을 인정하면서도 겸손한 모습을 갖추어야 합니다. 스스로의 능력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자신을 과소평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를 인정하되, 자만에 빠지지 말아야 합니다.

 


오늘은 더닝 크루거 효과 (Dunning Kruger effect)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제 글이 작게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아래의 구독과 공감을 눌러주신다면 큰 힘이 됩니다. 또 새로운 공공상식으로 찾아오겠습니다. 오늘도 기분 좋은 하루 보내세요 :)

반응형

댓글